UDP 소켓을 이용하여 에코서버와 통신하기.
이번에는 파이썬 UDP 소켓을 이용하여 에코서버 실습을 해 볼 것이다.
먼저 에코서버와 클리이언트가 필요하다.
1. 에코서버.
에코서버의 역활은 클라이언트에게서 받은 문자열을 다시 클라이언트에게 되돌려 전달하는 것 이다. 구성은 아래와 같다.
- 서버 소켓을 생성
sock = socket.socket(socket.AF_INET, socekt.SOCK_DGRAM)
-데이터를 받을 포트번호를 지정
sock.bind('',포트번호)
-수신
sock.recvfrom(데이터사이즈)
-송신
sock.sendto()
아래의 그림(Figure 1.1) 처럼 스크립트를 작성한다.
2. 클라이언트.
클라이언트의 역활은 서보로 문자열을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되돌아오는 문자열을 출력.
- 클라이언트 소켓을 생성
sock = socket.socket(socket.AF_INET, socekt.SOCK_DGRAM)
-데이터를 전송할 서버 주소와 포트를 지정
sock.bind('',포트번호)
-데이터 전송
sock.sendto()
-데이터 수신
sock.recvfrom(데이터사이즈)
아래의 그림(Figure 2.1 ) 처럼 스크립트를 작성.
3. 결과.
클라이언트에서 작성한 스크립트에서 test라는 문자를 서버로 전송하자 서버는 송신자의 ip주소와 데이터 사이즈를 그림(Figure 3.1) 과 같이 출력했다. 그리고 클라이언트는 그림(Figure 3.2) 과 같이 test라는 문자열을 되돌려받아 출력했다.
다음에는 파이썬을 이용하여 TCP 소켓을 프로그래밍 후 통신해보겠다.
먼저 에코서버와 클리이언트가 필요하다.
1. 에코서버.
에코서버의 역활은 클라이언트에게서 받은 문자열을 다시 클라이언트에게 되돌려 전달하는 것 이다. 구성은 아래와 같다.
- 서버 소켓을 생성
sock = socket.socket(socket.AF_INET, socekt.SOCK_DGRAM)
-데이터를 받을 포트번호를 지정
sock.bind('',포트번호)
-수신
sock.recvfrom(데이터사이즈)
-송신
sock.sendto()
아래의 그림(Figure 1.1) 처럼 스크립트를 작성한다.
Figure 1.1 UDP Server |
클라이언트의 역활은 서보로 문자열을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되돌아오는 문자열을 출력.
- 클라이언트 소켓을 생성
sock = socket.socket(socket.AF_INET, socekt.SOCK_DGRAM)
-데이터를 전송할 서버 주소와 포트를 지정
sock.bind('',포트번호)
-데이터 전송
sock.sendto()
-데이터 수신
sock.recvfrom(데이터사이즈)
아래의 그림(Figure 2.1 ) 처럼 스크립트를 작성.
Figure 2.1 UDP Client |
3. 결과.
클라이언트에서 작성한 스크립트에서 test라는 문자를 서버로 전송하자 서버는 송신자의 ip주소와 데이터 사이즈를 그림(Figure 3.1) 과 같이 출력했다. 그리고 클라이언트는 그림(Figure 3.2) 과 같이 test라는 문자열을 되돌려받아 출력했다.
Figure 3.1 Result UDP echo Server |
Figure 3.2 Result UDP Client |
다음에는 파이썬을 이용하여 TCP 소켓을 프로그래밍 후 통신해보겠다.
댓글
댓글 쓰기